의료급여(요양비) 혜택을 이용하면 부득이한 사유로 의료급여기관을 이용하지 못했을 경우, 적합한 지원을 제공받을 수 있는데요, 특히 질병, 부상, 출산 등 다양한 상황에서 지원이 이루어지므로 중요한 혜택입니다. 지원 대상과 신청 방법에 대해 확인하세요.
요양비 신청하기
요양비는 의료급여 수급권자가 질병, 부상, 출산 등의 이유로 의료급여기관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에서 의료서비스를 받았을 경우, 발생한 비용을 현금으로 지원하므로 자격 확인 후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의료급여기관을 이용할 수 없거나 없는 경우, 또는 기타 긴급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의료비를 지원하여 부담을 덜어줍니다.
요양비 신청 바로가기
요양비 신청은 방문신청과 온라인 신청 모두 가능합니다. 방문신청은 거주지의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요양비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서류를 준비해 담당 공무원의 안내에 따라 신청서를 작성하면 됩니다.
▶ 온라인 신청
온라인 신청은 신청 홈페이지를 이용해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으니 조건 확인 및 신청을 온라인을 통해 간편하게 확인하고 신청하세요.
복지로 홈페이지 접속, 로그인 후 서비스 신청 클릭, 복지서비스 신청 > 복지급여 신청 선택, 의료급여 항목 중 요양비 선택 후 신청서 작성 추가 정보, 이렇게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요양비 지원 대상자 선정 기준
▶ 지원 대상자
① 긴급하거나 부득이한 사유로 의료급여기관을 이용하지 못한 경우
② 의료급여기관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에서 의료서비스를 받은 경우
③ 의료급여기관 외의 장소에서 출산한 경우
▶ 선정 기준
의료급여 요양비 지원 대상자는 일정한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요, 의료급여기관 이용이 불가능하거나 해당 기관이 없는 경우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합한 치료를 받은 경우에 해당합니다. 특정 질환 및 상태에 대한 진단기준과 검사항목을 충족한 경우 요양비 신청이 가능합니다.
※ 요양비 지원의 주요 종류
1. 질병ㆍ부상ㆍ출산에 따른 요양비
의료급여기관을 이용하지 못하거나 해당 기관이 없는 지역에서 질병, 부상, 출산(사산 포함)의 치료를 받은 경우, 의료급여비용에 해당하는 금액이 지원됩니다.
출산 시: 의료급여기관 외의 장소에서 출산한 경우, 자녀 1인당 25만 원 지원.
2. 산소치료
중증 만성심폐질환자 등 산소치료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의사의 처방에 따라 산소치료기를 대여한 비용이 지원됩니다.
- 가정용 산소치료기: 월 12만 원
- 휴대용 산소치료기: 월 20만 원
3. 만성신부전 환자의 자동복막투석 및 복막관류액
만성신부전 환자가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복막관류액 또는 자동복막투석 소모성 재료를 구입한 경우, 해당 비용이 지원됩니다.
- 복막관류액: 실 소요액
- 자동복막투석 소모성 재료: 1일 10,420원 4. 당뇨병 관리에 필요한 소모성 재료
4. 당뇨병 환자 및 임신 중
당뇨병 환자가 혈당검사 또는 인슐린 주사에 필요한 소모성 재료를 의료기기 판매업소에서 구입한 경우 비용을 지원합니다.
- 제1형 당뇨: 1일 최대 4,500원 (만 19세 미만의 인슐린자동주입기 사용자 기준) 제2형 당뇨: 1일 900원~2,500원
- 연속혈당측정용 전극: 1일 최대 11,000원 (만 19세 미만 기준) 5. 자가도뇨 소모성 재료
5. 신경인성 방광 환자
간헐적 도뇨에 사용하는 카테터 등 소모성 재료의 비용을 지원합니다.
- 지원 한도: 1일 최대 6개, 9,000원/일 6. 인공호흡기 및 관련 서비스
6. 인공호흡기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인공호흡기 대여 서비스와 관련 비용을 지원합니다.
- 혼합형 인공호흡기: 월 535,000원
- 압력형·볼륨형 인공호흡기: 월 356,000원 7. 기침유발기
인공호흡기 사용자가 기침유발기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비용을 지원합니다.
- 월 160,000원
7. 양압기 대여 서비스
양압기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가 등록된 업소에서 서비스를 받는 경우 지원됩니다.
- 지속형 양압기: 월 76,000원
- 자동형 양압기: 월 89,000원
- 이중형 양압기: 월 126,000원
지원받은 요양비는 반드시 의료서비스 이용에 사용해야 하며, 부정수급 시 관련 규정에 따라 환수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자세한 내용은 보건복지부 고객센터(129)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세요.
요양비는 의료서비스가 필요한 국민들에게 중요한 보호막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해당 제도를 잘 활용하시어 건강과 경제적 안정을 함께 지키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