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가 2명 이상인 가구에게도 다양한 지원이 제공되도록 혜택 범위를 넓혔는데요, 2025년에 새롭게 변경된 다자녀 혜택을 꼼꼼히 확인해 보시고, 놓치고 있는 혜택이 있다면 꼭 신청해 보세요.
다자녀 가구 혜택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복지로 누리집에서 다양한 혜택을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오프라인 신청
읍·면사무소, 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 서류를 제출하세요.
2024년에는 2자녀 가구도 다자녀 혜택을 더욱 풍성하게 받을 수 있도록 제도들이 확대되었습니다. 각종 지원 정책을 꼼꼼히 확인하시고, 해당되는 혜택은 빠르게 신청하여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시길 바랍니다.
세액/소득공제 부문
자녀세액공제
자녀를 둔 가정은 연말정산 시 세액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자녀 1명: 연 15만원
- 자녀 2명: 연 35만원
- 자녀 3명 이상: 연 35만원 + 추가 자녀 1명당 30만원
출산·입양 공제 추가 혜택
해당 과세 연도에 출산하거나 입양한 경우 추가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 첫째 자녀: 30만원
- 둘째 자녀: 50만원
- 셋째 자녀 이상: 70만원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에 해당 공제 항목을 기입하여 제출해야 합니다.
자동차 취득세 면제 및 감면
2024년 12월 31일까지 다자녀 가구가 차량을 취득할 경우, 한 대에 한해 취득세가 면제됩니다. 7인 미만 승용차의 경우 최대 140만원까지 면제 또는 감면이 가능합니다.
▶ 유의 사항
이미 감면 혜택을 받은 차량이 있거나 공동 등록할 경우 혜택이 적용되지 않으니 주의하세요.
국민연금 크레딧
자녀 2명 이상 출산한 경우, 국민연금 가입 기간을 추가 인정받습니다.
- 자녀 2명: 12개월 추가
- 자녀 3명 이상: 30개월 추가
- 자녀 4명: 48개월 추가
- 자녀 5명 이상: 최대 50개월까지 인정
임신 및 출산관련
임신·출산 진료비 이용권
기존에는 단태아 100만원, 다태아 140만원이 지원되었으나, 2024년부터는 태아당 100만원으로 증액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쌍둥이를 출산한 경우, 기존보다 60만원 더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사용 기간 및 유의 사항
출산(예정)일부터 2년 이내에 사용해야 하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소멸되니 반드시 기한 내 사용하세요.
첫만남 이용권
첫만남 이용권은 출산 시 초기 양육비 지원을 위해 제공됩니다. 기존에는 첫째 200만원, 둘째 200만원이 지원되었으나, 2024년부터는 둘째 자녀 이상에게 300만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쌍둥이를 출산한 경우, 첫째는 200만원, 둘째는 300만원으로 총 500만원 지급됩니다.
▶ 사용 기간 및 유의 사항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에 사용해야 하며, 만료 시 지원금이 소멸되니 빠른 시일 내에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산후조리도우미 지원
신생아 수에 맞게 1:1로 산후조리도우미가 지원되며, 지원 기간도 최대 40일로 확대되었습니다.지원 대상은 태아 유형, 가정의 소득, 거주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신청 방법
거주지의 보건소 또는 복지로 누리집(www.bokjiro.go.kr)을 통해 신청하세요.
자녀돌봄관련
아이돌봄서비스 입니다. 12세 미만 자녀가 셋 이상이거나 36개월 이하 자녀가 둘 이상인 경우 서비스를 우선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다자녀 가구의 월평균 소득이 중위소득 150% 이하인 경우, 서비스 이용 요금 중 본인부담금의 10% 추가 지원이 가능합니다.
▶ 신청 방법
자세한 요건은 읍·면사무소, 동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누리집에서 확인하세요.
생활요금 할인 관련
전기요금 할인
3자녀 이상 가구는 월 전기요금의 30%(최대 16,000원)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한국전력공사에 신청서를 제출하면 혜택이 적용됩니다.
가스요금 할인
동절기(12월~3월)에는 월 18,000원, 그 외 기간에는 월 2,470원 한도로 도시가스 요금 할인이 제공됩니다.
거주지의 도시가스회사나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하세요.
철도 요금 할인
KTX·SRT 이용 시 25세 미만 자녀가 2명 이상일 경우 어른 운임의 30%, 3자녀 가구는 50% 할인이 가능합니다.
국립자연휴양림 할인
19세 미만 자녀가 2명 이상인 가구는 입장료 면제와 객실 및 야영시설 이용료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자녀 가구에 대한 지원은 부모님들의 노력을 격려하고 자녀 양육을 돕기 위한 중요한 정책이니, 놓치지 말고 활용해 보세요!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복지로 누리집(www.bokjiro.go.kr)을 방문하거나, 가까운 주민센터에 문의하시길 추천드립니다.